컴퓨터공학 💻 도서관📚
Part2. 6-12 자바의 입출력을 위한 I/O 스트림 (통합 연산 도구) 본문
✅🌲강의 복습 노트/패캠 JavaSpring 강의,코드 복습
Part2. 6-12 자바의 입출력을 위한 I/O 스트림 (통합 연산 도구)
들판속초록풀 2025. 8. 21. 20:31입출력 스트림
- 입출력을 스트림이라고 하는 이유는 네트워크에서 자료의 흐름이 물의 흐름과 같다는 비유에서 유래됨
- 자바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에 독립적으로 일관성있는 입출력을 입출력 스트림을 통해 제공
- 입출력이 구현되는 곳: 파일 디스크, 키보드, 마우스, 네트웍, 메모리 등 모든 자료가 입력되고 출력되는 곳
(자바 입출력을 공부할 때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이 입출력이 다 exception을 처리해야 한다
또한, 언제 어떤 클래스를 써야 하는지도 혼란스러울 수 있다.)
입출력 스트림의 구분
- 대상 기준 : 입력 스트림 / 출력 스트림
- 자료의 종류 : 바이트 스트림 / 문자 스트림
- 기능 : 기반 스트림 / 보조 스트림
(입출력 클래스는 딱 구별이 되어 있다. 입력용과 출력용 이렇게
그런데 하나의 스트림을 열어서 입출력을 동시에 쓸 수 없다. 자료가 들어가는 길과 나오는 길이 따로 있다.
문자를 자바에서는 멀티바이트 처리를 한다
문자 단위로 핸들링할 때는 인코딩이 중요하다 , 그래서 인코딩을 지정할 수 도 있고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디폴트이다.
기반, 보조 스트림이 스트림을 쓸 때 좀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다.
보조 스트림은 읽고 쓰는 기능은 없고 다른 스트림을 보조, 감싸기 때문에 웨퍼 스트림(wrap)이라고도 부른다)
입력 스트림과 출력 스트림
- 입력 스트림 : 대상으로부터 자료를 읽어 들이는 스트림
- 출력 스트림 : 대상으로 자료를 출력하는 스트림
- 스트림의 종류
바이트 단위 스트림과 문자 단위 스트림
- 바이트 단위 스트림 : 동영상, 음악 파일, 실행 파일등의 자료를 읽고 쓸 때 사용
- 문자 단위 스트림 : 바이트 단위로 자료를 처리하면 문자는 깨짐, 인코딩에 맞게 2바이트 이상으로 처리하도록 구현된 스트림
- 스트림의 종류
뒤에 Stream이 붙으면 바이트이다 , 뒤에 Reader , Writer 가 붙으면 문자이다.
기반 스트림과 보조 스트림
- 기반 스트림 : 대상에 직접 자료를 읽고 쓰는 기능의 스트림
- 보조 스트림 : 직접 읽고 쓰는 기능은 없이 추가적인 기능을 더해주는 스트림
- 보조 스트림은 직접 읽고 쓰는 기능은 없으므로 항상 기반 스트림이나 또 다른 보조 스트림을 생성자의 매개 변수로 포함함
- 스트림의 종류
'✅🌲강의 복습 노트 > 패캠 JavaSpring 강의,코드 복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rt2. 6-14 바이트 단위 입출력 스트림 (0) | 2025.08.22 |
---|---|
Part2. 6-13 표준 입출력 스트림 (0) | 2025.08.22 |
Part2. 6-11 오류의 로그를 남기기 - java.util.logging.Logger 활용 (이해 잘 안 됨...) (3) | 2025.08.15 |
Part2. 6-10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와 그 활용 (1) | 2025.08.15 |
Part2. 6-9 예외 처리하기와 미루기 (5) | 2025.08.14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