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💻☕프로그래밍 언어/Python (17)
컴퓨터공학 💻 도서관📚
len() 함수 : 리스트의 길이를 알려준다my_list = [1, 2, 3, 4, 5]length = len(my_list)print(length) # 출력: 5 sort() 함수 : 리스트의 요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준다 리스트.sort(reverse = True) 는 내림차순이다.data = [2, 1, 3]data.sort()print(data)# 출력 결과 : [1, 2, 3]data = [2, 1, 4]data.sort(reverse = True)print(data)# 출력 결과 : [4, 2, 1]
append 함수 안에는 리스트, 숫자, 문자열, 심지어 함수도 들어갈 수 있다. for i in range(N): arr.append(int(input())) // append함수 안에 int(input()) 함수도 넣을 수 있다
배열 중복 검사 if + in 으로 가능하다 --> 기본 명령어 2개의 조합 if char in arr: check = True
데이터를 집합에 넣고다음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그 데이터가 이미 있는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코드 예시 chek = set()# ...if char in chek # .... check.add(char)
n n >> m : n / (2의 m승) 컴퓨터 내부에는 2진수 형태로 값들이 저장되기 때문에, 2진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값들을 왼쪽(>)으로 지정한 비트 수만큼 밀어주면 2배씩 늘어나거나 1/2로 줄어드는데, 왼쪽 비트시프트(오른쪽 비트시프트(>>)가 될 때에는 왼쪽에 0(0 또는 양의 정수인 경우)이나 1(음의 정수인 경우)이 개수만큼 추가되고, 가장 오른쪽에 있는 1비트는 사라진다. 예시 n = 10 print(nprint(n>>1) #10을 반으로 나눈 값인 5 가 출력된다. print(nprint(n>>2) #10을 반으로 나눈 후 다시 반으로 나눈 값인 2 가 출력된다. 정수 10의 2진수 표현은 ... 1010 이다. 10 10 >> 1 을 계산하면 ... 101 이 된다. ..
' / ' 는 나눗셈을 의미하며 결과가 float 로 나타난다' // ' 는 나눗셈을 의미하며 결과가 int 로 나타난다
comprehension 영단어 뜻은 이해, 이해력, 포용력 이다.List Comprehension 을 이용하면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단 한 줄로 관여할 수 있다 표현식 + for문 형식# case 1result = [int(input()) for i in range()]# case 2result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i in range(n)]# case 3result = [[0]*n for i in range(n)] 표현식 + for문 + 조건문 형식# case 1n = 10result = [i for i in range(n) if i % 2 == 0]print(result)# 출력 결과 : [0, 2, 4, 6, 8]# case 2left_sid..
data = ['서울', '부산', '대구', '인천', '강릉'] city = data[0:3]print(city)# 출력 결과 : ['서울', '부산', '대구'] city = data[2:5]print(city)# 출력 결과 : ['대구', '인천', '강릉'] city = data[3:]print(city)# 출력 결과 : ['인천', '강릉'] city = data[:2]print(city)# 출력 결과 : ['서울', '부산'] city = data[2:-1] # data[2:4] 와 같다, 마지막은 열린구간이니까 마지막 앞에까지 출력print(city)# 출력 결과 : ['대구', '인천']